목록전기자기학 (4)
엔지니어링 공부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Mdfg/btqZlP08Vc1/zlVpTOcK5B3dSQ9iyXMSL0/img.png)
전기자기학 발산 정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기력선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미 한 번 정리했던 적이 있으니 전기력선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주세요 cheungjae.tistory.com/79 전기기사 요약 - 전기자기학 5편 [전기력선] - 가우스 정리 / 포아송 방정식 / 라플라스 방정식 / 점점 암기할 내용이 많아지네요 전기력선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문제를 함께 풀어봐야 좀 더 적용하고 이해하기 쉬울 것 같네요... 끝까지 훑은 후 내용 보강해야겠습니다. 본 내용은 유튜브 최 cheungjae.tistory.com 이제 본격적으로 발산정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정의를 보시죠. 이해가 가시나요? 간단히, 체적 안에서 발생한 전기력선의 수와 면을 빠져나가는 전기력선의 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hDua/btqSKM2GP5o/iAXnggzOWSXD1y1zGBuJkK/img.png)
전속이란. 1쿨룽에서 1개의 전속선이 나온다는 가정으로 만든 가상의 선 입니다. 각각의 경우에 따라 전계와 전위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네요 동심구는 당구공 속에 탁구공이 들어있는 모양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동축케이블은 일반적으로 보는 전선과 가장 유사한 구조입니다.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이 많이 나왔네요 최종인 원장님의 전기자기학 7강을 보시면 더 정확히 이해하실 수 있을거에요 화이팅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FjTkh/btqQu4qNp6h/XVvP5hbaLaR0fZQb0PsZY0/img.png)
전기자기학 3편에서는 전기에 대한 내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정전계, 핵과 전자, 전하에 대한 내용입니다. 전압에 의한 전자의 이동속도 W=QV (전위) 전하의 이동속도를 나타내는 공식 등은 외워두면 문제풀이에 용이하더라구요 ㅋㅋ 유전율은 콘덴서 이해할 때 유용한 내용입니다. 전하가 흘러가는 것을 방해하는 개념이죠 입실론0, 입실론r ㅋ 저도 잘 못하지만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 좀 익숙해질 것 같네요 이번 강의 내용 중 가장 재밌었던 것은 쿨룽의 법칙입니다. 만유인력의법칙에 만유인력 상수가 있듯이 쿨룽의법칙에 쿨룽 상수가 있네요 두 전하가 끌어당기고 밀어내는 힘을 구하는 공식이네요. 어렵지는 않은데 ㅋㅋ 외울게 많아서 헷갈리더라구요 화이팅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3Bzmf/btqP4kCF7Rc/og4xlT77Gyrgm3mfauxZ11/img.png)
전기기사 전기자기학의 기초는 벡터입니다. 반드시 알아야하는 과정이죠. 벡터는 고등학교 물리1, 물리2 대학물리학 에서도 배우는 내용인데 오래 되니 기억이 잘 안 나네요 ㅎㅎ 벡터의 기본인 성분벡터와 단위벡터는 꼭 알아둬야 한다고 합니다. 다음의 좌표계는 전기기사 딸 때는 음.. 일단 이런게 있다는 정도만 알아두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문제풀이는 많이 해야겠죠 벡터의 연산입니다. 벡터의 덧셈과 뺄셈은 간단합니다. 수식적으로도 같은성분끼리 더하고 빼기만 잘 해주면 됩니다. 벡터의 내적은 항상 헷갈리는 부분이에요. 딱히 어렵진 않은데 오래 지나면 기억이 가물가물.. 벡터의 내적은 물리학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일의(양)을 구하는 것과 유사한거 같아요. 즉, A를 힘, B를 이동량으로 봤을 때 두개를 내적 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