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91)
엔지니어링 공부방
현대자동차 1차벤더 리스트 관심 갖는 분들이 많으셔서 삼성전자도 옛날자료를 토대로.. 한 번 정리해 봤습니다. 매출액 순으로 나열했습니다. 참고만 부탁드려요. 오래전 자료를 토대로 해서 누락된 업체도 꽤 있을거 같아요.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kg와 kgf의 차이가 무엇일까요? 우선 질량과 힘이 무엇인지 부터 알아야 합니다. 정의를 찬찬히 살펴보죠!! 어디 힘과 질량의 단위를 조금 더 살펴볼까요? 즉, Kgf 와 Kg은 힘과 질량을 재는 완전히 다른 단위입니다. 마치 길이와 시간을 재는 단위가 다르듯 말이죠. 그렇다면 1N의 정의는 어떻게 될까요? 이해가 되십니까? 이를 풀어 써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렇다면 1kgf는 뭘까요? 이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몸무게의 킬로그람입니다. 사실 몸무게에서 말하는 kg은 kgf(킬로그람중)이라고 말하는 게 맞습니다. 즉, 여러분의 몸무게가 60kg이라면 사실 이는 60kgf (킬로그람중)을 줄여 말하는 것이고.. 이 됩니다. 앞에서 1N은 아래와 같다고 말씀드렸죠. 즉, 킬로그람중이라고 하는 이유는 제 생..
테브난의 정리가 무엇일까요? 정의를 한 번 보시죠. 복잡한 전기 회로를 전압원 1개 + 저항 1개 직렬 회로로 보기 쉽게 바꾼다는 거에요. 그림으로 보시면 더 잘 와 닿을 겁니다. 위 회로는 아주 기초적인 회로에요. 기초적인 회로인데 또 문제에도 종종 출제 되는거 같더라구요 전류원도 없고 저놈은 구하기는 쉬워요 ㅋㅋ 하지만!!! 어떻게 구하는지 제대로 나와있는 곳이 왤케 찾기가 힘들던지.. 말로 설명하기보단 문제 위주로 해볼테니 천천히 따라와 보세요 순서는 1. 합성저항 구하기 2. 등가전압 구하기 3. 회로완성 및 전류 구하기 입니다. 제가 최종적으로 결론 내린 가장 쉬운 방법이에여.. 이렇게만 나오면 아주 간단하지만 ㅋㅋㅋ 실제 회로는 그렇지 않죠 예를 들어 아래 회로는 어떨까요? 전압원 뿐만 아니라..
회사 일도 많아 바빠지고 전기기사 내용과 난이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네요 ㅠㅠ 힘들지만.. 힘내야겠죠?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하죠. 이로 인해 전류의 지연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자기 인덕턴스’ 인데요 코일이 감기는 방향에 따라 가동결합/차동결합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렇게 점을 찍어서 앞/뒤 를 구분하네요 전류 방향이 같은지!!!! 점의 위치가 같은지를 잘 봐야하는 거 같아요 직렬이 좀 더 문제가 많이 출제되는 듯 합니다 이 정도만 알아두고 바로 문제풀이!! 고고! 쉬워요. 할만해요!! 아래도 어렵지 않네요!! 알기만 하면!! 점점 어려워지고 있네요 ㅠ
전력의 뜻이 뭘까요? 공진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을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압과 전류를 곱해주면 간단하게 구할 수 있죠 전력의 단위는 와트(W), 킬로와트(kW)인데 실생활에서 전력은 사용한 양이 중요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 시간을 곱한 전력량으로 키로와트시(kWh)로 표현합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은 직류에서는 전압이 일정하므로 매우 간단합니다. 그런데 전압이 일정하지 않은 교류에서는 어떨까요? 또 전류의 위상지연이 있는 RLC 회로에서는 어떨까요? 여기서부터 좀 복잡해집니다. 전기핵심기초 2편에서 다뤘던 내용과 다소 중복되네요 ㅎ 가장 상위 버전 공식은 위와 같구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kVA, kW, Var 단위들이 의미하는 것을 잘 알 필요가 있겠어요. 전기..
공진의 뜻이 뭘까요? 공진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RLC 회로에서는 조금 다르게 사용되는 것 같네요. 교류회로에서 임피던스 Z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이 때!!! 전류가 최대로 되려면 리액턴스가 0가 되어야 하겠죠? 그 때의 조건을 공진이라고 하는겁니다!!!! 여기서 임피던스를 최소로 만드는 상태, 즉, 임피던스 Z는 전류와 밀접하게 연관이 돼 있습니다. 위 식처럼 공진 상태에서는 토탈 리액턴스는 0이고 전류는 최대가 되겠죠? 다시 한 번 정리!! 일단 여기서부터 시작하는 거죠. 이를 가지고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표를 머리 속에 전부 집어 넣으면 좋지만 정 안되면 선택도라도 넣어보죠 기준인 직렬회로를 외우고!! 뒤집기만 하면 돼요 예제문제입니다 유도를 해 나갈 수도 있지만 확실히 ..
RLC회로를 알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임피던스(Z), 리액턴스(X) 등에 대한 개념은 잡고 있어야 합니다. 전기핵심기초 2편에서 다뤘었죠. 이를 바탕으로 좀 더 심도 있게 들어가 보도록 할게요. 전압(V) = 전류(I) x 임피던스(Z) 입니다. (V=IR이랑 비슷하죠!!) RLC 회로에서 위상차, 전압과 전류 관계, 역률은 어느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해요 이해가 바탕이 되면 암기도 좀 쉽겠죠? 어마무시한 공식들.. 빈칸은 이해하기도 힘들고 ㅋㅋ 외워야 하나 싶어서 일단 비워놨습니다.. 나중에 필요한거 같으면 채워놔야겠네요 그림으로 이해하고 외우는게 속편해요 ㅠ 벌써 여러번 나온 그림이네요 ㅎㅎ 예제문제입니다. 기본 공식만 잘 암기하고 있다면 전혀 어렵지 않습니다. 용어들과 기호들을 접한지 얼마 안 돼서 ..
이제 교류 전기가 뭔지는 아실거라 믿습니다. 그럼 정현파는 뭘까요? 정현파는 사인파로 교류전기가 사인함수 형태로 들어오기 때문에 정현파, 교류 이렇게 부릅니다. 정현파 용어 정의부터 하겠습니다. 평균값 같은 경우 제가 계산 과정을 직접 작성해서 틀릴 수가 있어요.. 잘 보시고 이상한게 있으면 제보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당 이렇게 교류, 정현파 기본 용어와 개념 등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리고 교류 전기는 정현파 외에도 여러 파형이 있어요 우선 어떻게 생긴지 볼까요 이걸 다 외워야 할까요..? ㅠㅠ 다소 빡센데.. 예제문제 첨부합니다. 오 이 문제는 좀 어려워요!! 정현파 교류의 최대 관건은 각 파형 별 공식을 외우냐 마느냐 이네요. 그리고 사인함수 적분하기? 조금만 연습하면 감이 잡힐것 같기도 해요 ㅋㅋ
배율기와 분류기는 전압계/전류계 용량의 한계로 회로의 전압/전류를 측정할 수 없을 때 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구라 생각하면 됩니다. 그냥 보는것 보다는 숫자를 대입해 보면 확실히 알 수 있겠죠? 자, 먼저 분류기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부하 저항은 9오옴, 전류계 저항은 1오옴, 회로 전압은 100볼트를 가정하겠습니다. 분류기를 부착함에 따라 전류계에 측정되는 전류가 10A에서 5.26A로 감소했네요 그런데 말이죠.. 분류기와 전류계 저항에 의해 전체 저항이 감소했고 총 전류가 증가했습니다!!! 그래서.. 저항에 비해 전류계 저항이 매우 작은 경우로 다시 계산해보죠 부하 저항 10오옴, 전류계 저항 0.1오옴 및 분류기 저항 0.1 오옴입니다. 그러자 전류계의 전류는 9.9A 에서 4.975A로..
전기핵심기초에서 다뤘던 직렬 및 병렬 연결이 회로이론 기초 내용이네요. 다시 한 번 짚고 가겠습니다. 병렬회로에서의 전류 전압 저항 특성 전기회로에 필요한 기본적인 전기량 요약 전기핵심 기초 내용과 중복되는게 많네요 ㅋㅋ 예제문제도 몇개 올려볼게요 해설 직류회로 쭉 훑어봤는데 직류회로에서는 딱히 어려운 게 없네요 ㅋㅋ 역시 전기는 교류가 와따죠 ㅠㅠ 어려운 부분도 화이팅!!
임피던스와 리액턴스에 대해 쉽게 풀어보고 물리학적으로 한 번 이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피던스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전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척도’ 라고 나와있습니다. 즉, 저항이죠 그렇다면 우리가 알고있는 V=IR 의 ‘R’ 저항과 임피던스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간단하게 임피던스는 전기학적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 저항의 총 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연 이게 무슨 말일까요…?? 전열선이나 고무같이 전류가 흐를때 자체적으로 방해하지 않아도 전자기유도현상, 캐패시터의 저장기능에 의해 전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들을 리액턴스라 하죠. 이를 이해하려면 당연히 캐패시터와 전자기유도에 대해 어느정도는 알아야겠죠..? 아래 포스팅 참고 하세용 ㅋㅋ 캐패시터에 관하여(용량성 리액턴스) https:..
전기는 기본적으로 전류(I), 저항(R), 전압(V) 이렇게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정의를 한 번 보겠습니다. 전류(I); 단위[A]암페어 : 1초동안 전자(전하)의 이동량 전류란 전자의 이동량이라고 되어 있네요. 즉, 전자의 이동이 바로 ‘전기’의 실체입니다. 전자는 세상 만물을 구성하는 아주 작은 구성 단위로 양성자(+), 중성자(x), 전자(-) 이렇게 세 종류가 아우러져 원자를 구성하게 됩니다. 전기는 직류와 교류가 있어요. 직류는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전압이 유지되는 것이고 교류는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전압이 변하는 것이죠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 참고 부탁드려요. https://cheungjae.tistory.com/28 전기 기초 (2편) - 직류(DC)와 교류(A..
전기 관련 내용 포스팅을 많이 했는데 지금 와 돌이켜보면 다소 전문성이 떨어지고 내용이 뒤죽박죽 섞이는 것 같아 전기기사 자격증을 바라보고 순서에 따라 내용을 쭈욱~ 정리해 나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전기기사는 [전기자기학 / 전력공학 / 전기기기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5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Q-NET에 공시되어 있는 출제기준의 필기시험 출제항목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실기시험 출제 항목입니다. 과목과 주요항목을 정리하니… 엄청난 양이 몸으로 느껴지네요.. 세부항목 및 세세항목을 보면 공부할게 훨씬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ㅋㅋㅋ 필기과목에 들어가기에 앞서 /전기핵심기초/를 몇 편 정리하구요 그 다음에 필기 과목의 주요항목 순서대로 정리를 해 볼까 ..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생산기술과 기계공학, 전기공학 등을 공부하고 또 자료를 정리하기 위해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하였습니다. 기계공학 혹은 재료 쪽 분야에서 '응력'이란 말을 많이 쓰는데요 과연 '응력(STRESS)'이란 무엇일까요? 그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영어로는 스트레스 라고 하구요. 단위는 압력과 같네요. 즉, 단위 면적에 가해지는 힘의 양을 나타낸 것이죠. 그리고 재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장 실험을 하는데요 여기서 얻어지는 그래프를 [응력-변형률 선도] 혹은 Stress-Strain Curve라고 합니다. 응력(항복응력, 인장강도 등)은 재료의 성질을 나타내는 기본 지표이며 기계공학도라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이죠 ㅎ
안녕하세요. 이번 한국화낙 기술연구소에서 수강한 'ROBOT 일반' 코스에서 배운 로보트 티칭 관련한 내용을 한 번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우선 로보트 앞에 기본적으로 달려있는 네모난 박스를 캐비닛 이라고 합니다. 위 사진에 있는 것은 B-캐비닛이고 그 앞에 달려있는 조작기를 팬던트라고 합니다. 그리고 !! 로보트 티칭의 시작은 제 생각엔 [프로그램 등록]인 것 같네요 프로그램 등록 교재 내용을 볼까요 프로그램 등록은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 MENU 혹은 SELECT 키를 누르고요 F2를 눌러서 CREATE 로 들어갑니다. 프로그램 이름을 UPPER CASE (대문자)를 써서 입력해 주고요 엔터를 눌러주면 완성!! -제한사항은 꼭 잘 지켜야 합니다- 이름 다 쓰고 F2 DETAIL에서 세부 사항 정할 수..
배터리는 충전의 불가능/가능 여부에 따라 1차전지/2차전지 로 나뉩니다. 2차 전지의 대표 격인 리튬-이온 배터리의 원리에 대해 알아볼까 해요. 우선 큰 도움 받은 블로그 주인이신 ‘올리브냠냠’님께 감사드리며 참고한 사진을 하나 보여드릴게요 그림에 약간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은 지웠습니다. 이처럼 양극/음극에서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며 전자가 이동하는데 이것이 바로 리튬 이온 전지의 기본 원리입니다. 여기서 잠깐!!! Anode와 Cathode 는 오해의 여지가 많은 개념입니다. 충전/방전에 따라 위치가 변하기 때문인데요. 이해하기 쉽도록 Anode는 산화전극, Cathode는 환원전극 이라고 알아 두는게 좋다고 합니다. Anode 와 Cathode에 대해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https..
반도체 8대 공정을 통해 어떻게 반도체 IC 칩을 만들까요? 사실.. IC칩의 핵심 소자인 단위반도체 MOSFET을 만드는 과정을 반도체 8대 공정과 매칭하려 했으나 MOSFET을 만드는 과정이 훨씬 복잡하더라구요. 그래서 단순한 모형으로 보여드리겠습니다 ㅠ 다른 포스팅들과 큰 차이가 없어 아쉽네요.. 8대 공정을 그림으로 한 번 준비해 봤어요 ① 웨이퍼 공정 웨이퍼 공정은 반도체 회로를 그려 넣을 기판을 만드는 공정입니다. 준비된 웨이퍼는 베어 웨이퍼(Bare Wafer)라고 부르며 도화지 같은 역할을 하죠. 회로가 그려지기 전이라 거울같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네요 웨이퍼는 주로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데 몇 가지 절차에 거쳐 만들어집니다. 잉곳을 만드는 방법은 쵸크랄스키법과 플로팅존법이 있습니다. ..